728x90

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개발 자료 외에 설계 흐름이나 하드웨어에 대한 재미난 글들도 올리려고 합니다.

개발 커리큘럼을 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실무 회로 설계를 위한 기초 커리큘럼

1) 기본 소자의 역할 및 기능을 알아야 한다.

2) 등가회로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3) 회로보는법을 알아야 한다.

4) Block 별 해석할 줄 알아야 한다.

5) trouble shooting 하기

6) 응용

이정도.. 커리큘럼 순서라고 볼 수 있다. 

1번 - 저항, 캐패시터, 다이오드, TR, FET 등 여러 부품들에 대해 알고있어야 한다.

2번 - 회로가 있다면 계산을 하여 전압, 전류 등 얼마나 나오는지 계산 및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3번 - 1번 2번을 한다면 웬만한 회로 볼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응용된 회로라던지 이곳에 왜 이런 소자가 있는지 궁금증을 가지고 이유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4번 - 긴 회로가 있다면 부분별로 나눈다. A지점, B지점, C지점 등으로 나눠서 출력된 값을 확인 확인 확인 하면서 지나간다. (부분부분 Block 별로 체크해서 확인한다.)

5번 - Truoble shooting이란 디버그랑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문제가 되는 부분 하나하나 찾아서 수정해 나가는 방법이다. 제품의 문제가 생긴 부분을 수정할 줄 알아야 한다.

6번 - 1~5번 모두 합치고 더 플러스 알파하여 응용하여 설계하고 제품을 만들 줄 알아야 한다.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회로 설계중 트랜지스터(TR) 부품은 빠질 수가 없는 존재입니다. 이번엔 FAN Motor을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선정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간단한 사용 방법이므로 다른 모터 구동에도 응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회로도를 통해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회로도
FAN 회로

 

여기서 저항,다이오드,캐패시터에 대한 설명은 생략 하겠습니다.

TR 저항에 대해 알고싶으면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www.rohm.co.kr/products/faq-search/faqId/234

 

디지털 트랜지스터의 기본적인 내용을 알려주십시오.|FAQ|ROHM Semiconductor

 

www.rohm.co.kr

​- FAN : FP-108F/DC (링크 : http://www.cic-commonwealth.com.tw/FP-108F-DC.htm )

- TR : 2SD880 ( 링크 : https://pdf1.alldatasheet.co.kr/datasheet-pdf/view/965479/JIANGSU/2SD880.html )

일단 FAN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과 전류를 알아야겠죠?

왼쪽 : FAN Datasheet, 오른쪽 : 2SD880 Datasheet

 - FAN의 입력 전압 DC12V , 전류 0.13A가 필요합니다.

 - TR의 Ic는 최대 3A 입니다. ( Ic : 트랜지스터에 흐를 수 있는 전류 값 ) 만약 FAN보다 흐르는 전류가 낮다면 FAN은 동작하지 않습니다. 

​ - FAN의 전류가 3A가 안되므로, FAN을 여러개 사용하여도 괜찮습니다. FAN의 Total 전류가 2.5A 밑으로 흘러야 합니다. (0.5A는 마진 값으로 남겨두었습니다 )

TR이 스위칭 역할로 많이 사용되는데, Ic에 흐르는 전류값을 꼭 확인하시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하드웨어 개발을 하려면 부품 서칭 능력은 필수 입니다. 이번엔 부품 구매 사이트에 대해 공유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이 추천하는 사이트도 댓글로 남겨주세요!

 


 

국내 사이트!

1. 디바이스마트  

(링크 : https://www.devicemart.co.kr/main/index)

 

대한민국 전자부품 1등 쇼핑몰 디바이스마트

디바이스마트

www.devicemart.co.kr

- 많이들 아실 겁니다. 디바이스마트는 대학교 시절부터 많이 애용한 사이트 인데요, 접근성이 편해 아마 부품 구매 입문으로 많이 접하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요즘은 디지키, 마우저 (해외 부품구매 사이트) 와 연동하여 부품을 판매하고 있어 접근성이 더더욱이 좋습니다.

2. 엘레파츠 

(링크 : https://www.eleparts.co.kr/main/index)

 

엘레파츠-大韓民國No.1 전자부품쇼핑몰

전자부품 전문쇼핑몰, 전기, 통신모듈,공구,화학제품,계측기,컴퓨터,네트웍제품 전문 쇼핑몰

www.eleparts.co.kr

- 디바이스마트와 같이 엘레파츠로 입문을 많이 하셨을 겁니다. 디바이스마트와 마찬가지로 접근성이 좋습니다.

디바이스마트와 동일하게 디지키, 마우저 (해외 부품구매 사이트) 와 연동하여 부품을 판매하고 있어 접근성이 더더욱이 좋습니당

3. IC114 

(링크 : https://www.ic114.com/WebSite/THEME/001/default.aspx)

 

::: ic114.com- 국내최대전자부품 전문 쇼핑몰:::

 

www.ic114.com

- 이 사이트를 알게된건 저항이나 캐패시터를 릴단위가 아닌 수량으로 구매가 가능해서 입니다. MOQ 수량이 정해져있지만 릴보단 소량으로 구매가 가능하기때문에 애용 합니다. 

 

- 1, 2 번과 동일하게 접근성이 쉽고, 다양한 부품을 판매합니다.

- 회사 생활중 디바이스마트 또는 엘레파츠 등 국내 사이트에 안나오는 부품들은 이곳으로 들어가 구매합니다.

부품명을 검색하면 업체명이 나오고 전화할 수 있는 연락처가 있어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회원가입하고 구매하고싶은 부품명, 기간, 가격을 올려두면 연락도 오고 꽤나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사이트 입니다.

해외 사이트!

6. 디지키

(링크 : https://www.digikey.kr/?&utm_adgroup=General&mkwid=suVvJuYJx&pcrid=196256282785&pkw=%EB%94%94%EC%A7%80%ED%82%A4&pmt=e&pdv=c&productid=&&gclid=CjwKCAjw-ITqBRB7EiwAZ1c5U9IVgpAVBlk6mME-BpgTHwP-J725y6ZAhlK7xI8aaC0Frx3aBec_lxoCrZgQAvD_BwE )

 

DigiKey Electronics

Digi-Key는 수천 개의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수백만 개의 제품을 유통하며, 당일 배송이 가능한 많은 재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금 온라인으로 주문하세요!

www.digikey.kr

- 해외 사이트인만큼 기간이 더 소요되지만, 더 많은 부품을 찾을 수 있어 좋습니다.

60,000원 이상일 구매 시, 무료배송이니 참고 바랍니다. 

7. 마우저

(링크 : https://www.mouser.kr/)

- 디지키와 비슷합니다. 저는 사용해 보지 않아 정확히 설명드리기 어렵네요..

해외 사이트인만큼 기간이 더 소요되지만, 더 많은 부품을 찾을 수 있어 좋습니다.

6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배송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신입 개발자분들은 미리 즐겨찾기 해두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저는 눈에 보이는곳에 즐겨찾기하고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마우스 2번클릭이라 편합니다)

이상 간략하지만 좋은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사이트 있으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오늘은 ST사 MCU인 STM32F103 칩에 대해 직접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래 사진 외에 첨부된 자료에 더 많이 있으니 첨부자료 다운받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네이버 및 구글링 하여 정리하였으니 참고 바랍니다. 또한 잘못된 점이 있으면 댓글 바랍니다!

 

 

STM32F103 칩특징.pptx
0.90MB

 


 

 

 

 

 

모두 화이팅~!

 

 

 

 

 

 

 

 

 

 

 

728x90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전자파 적합성  (0) 2022.08.17
하드웨어 입문 1~6 읽어보기  (0) 2021.07.02
728x90

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당근이에서 본 다이오드 사용 방법 입니다 

 


부품을 동작시키기 위해선 필요한 전압 및 전류가 있다. ( 데이터 시트를 찾아보면 나옴)

마찬가지로 OPAMP를 사용하기 위해선 필요한 전압 및 전류가 있다.

LT1413/CN8 의 데이터 시트를 찾아보자

(https://www.analog.com/media/en/technical-documentation/data-sheets/lt1413.pdf)

Supply voltage -> +- 22V

Differential Input Voltage -> +-30V (최대 전압)

만약 35V의 전원을 공급한다면 OPAMP는 망가지고 말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

정답은 다이오드를 달아준다.

입력 보호 회로라고 하여 OPAMP에 아래 사진과 같이 다이오드를 달아준다.

다이오드의 특징에 따라 아래 사진의 아래 그래프로 바뀜.

728x90
728x90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오늘은 회로 보호 소자인 바리스터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AC전원에서는 퓨즈로 과전압 보호를 하고, DC 전원에서는 바리스터로 과전압 보호를 하므로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바리스터란?

- Variable Resistor 의 약어.

- 정격 전압내에선 500MΩ 이상의 절연 저항이 유지되나 과전압 발생 시 수 mΩ 이하의 도체로 저항값이 급격히 감소하는 소자 (220V 사용하는 제품에 380V 인가시 회로 차단이 가능한게 아니라, 낙뢰등 과전압이 순간적으로 들어올때 쇼트되어 터짐으로써 2차측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

 

 

특징

- 인가 전압에 따라 저항이 변하여 비직선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냄.

 

- 신호선과 접지를 연결해 놓으면 정격 전압내에선 부도체와 같이 주변 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다가, 과전압 발생 시 낮은 임피던스로 인해 전류가 varistor를 통하여 접지로 빠져 나가도록 함으로써 회로를 보호함.

 

- 바리스터는 보호하고자 하는 부품이나 회로에 병렬로 연결하여 과도전압이 증가하면 낮은 저항 회로를 형성하여 과도전압이 더 이상 상승하는 것을 막아줌.

 

- 바리스터는 동작전압 이하에서는 저항이 매우 높아 절연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고 동작 전압 이상에서 저항이 급격히 낮아져 전류를 흐르게 하는 특성이 있음. 이러한 특성에 기인하여 V-I Curve는 비직선적인 형태로 나타나며 폭 넓은 범위에서의 특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Log-Log scale의 그래프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 바리스터는 Surge Energy에 반복해서 노출되게 되면 저항이 높은 결정립계 부분 중 취약한 부분이 차츰 파괴되어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데 바리스터 전압(V1mA)이 초기치에 대하여 ±10% 이상 변화하였을 경우 수명이 다한 것으로 본다. 수명이 다한 바리스터를 계속해서 사용하여 바리스터 전압이 입력 전압의 최고치까지 저하하면, 누설 전류 증가로 인한 발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바리스터 전압이 입력전압의 최고치까지 저하하면 누설전류 증가로 인한 발열이 발생하는데 이는 바리스터 전압을 가속적으로 저하시켜 결국 바리스터의 단락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바리스터에 규정치 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누설전류가 증가하게 되고 바리스터의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출처: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저번 시간은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역할을 배워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엔 트랜지스터의 증폭 작용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보통 트랜지스터는 증폭 작용보단 스위칭 용도로 많이 사용되지만 증폭 작용도 중요하므로 꼭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사진이 흐린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눈으로만 보지 마시고 직접 그려서 정리해보세요!

 

트랜지스터의 증폭 작용

 

① R1 Bias 저항을 통해 항상 전압이 공급됨

② ①으로 인해 Ib 전류가 흐름

③ Ib 전류가 흐르면 Ic 전류가 흐르게 됨 => TR은 항상 동작하는 상태

* TR B의 적은 전압 변화에 따라서 Vce 전압이 크게 변화하게됨으로 '증폭' 되었다고 한다.

트랜지스터의 접지 방식

트랜지스터의 접지 방식에 따라 특징이 다르다.

 

(1) 에미터 접지 방식

특징

① 입력과 출력의 위상차 180도 (역위상)

② 전압 전류 증폭도가 크다.

③ 입출력 임피던스가 중간이다.

④ 임피던스 매칭이 쉬워 가장 많이 사용됨.

 

(2) 베이스 접지 방식

특징

① 입력과 출력의 위상차 0도 (동위상)

② 전압 증폭도가 크다.

③ 입력 임피던스는 낮고 출력 임피던스가 높다.

④ 출력 임피던스가 높고 차단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고주파 증폭단에 많이 사용한다.

⑤ 전류 증폭률 : 알파 = Ic / Ie = 99/10 = 0.99 (1보다 작다)

 

 

(3) 콜렉터 접지 방식

특징

① 입력과 출력의 위상차 0도 (동위상)

② 전류 증폭도가 크며, 전압 증폭도는 1 이하다.

③ 입력 임피던스는 높고 출력 임피던스가 낮다.

④ 출력 임피던스가 낮아 임피던스 매칭기로 많이 사용한다.

⑤ 에미터 플로워 증폭기라 하낟.

⑥ 100% 부궤환(NFB)이 걸려 안정도 및 충실도가 좋다.

 

 

 

 

[출처] 전기전자기초교채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