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회로의 전압을 담당하는 레귤레이터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꼭 알아두어야 하는 내용이며, 레귤레이터 방식에 따라 비교하여 선정하시기 바랍니다.
레귤레이터 종류
1. 리니어 방식
2. 스위칭 방식
특징
1. 리니어 방식
- 직류(DC) 출력이 건전지에 가깝게 양질이다.
- 적은 부품으로 간단하다.
- 소출력 회로에 많이 사용된다.
- 발열이 심하며, 효율이 낮다.
=> 전원이 깨끗하고, 품질이 좋은 레귤레이션이 좋은 전원을 공급하지만 출력 전압 이상은 모두 열로 소모하기 때문에 효율이 나빠지고, 발열의 문제가 생깁니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방열판 부착을 권고합니다)
2. 스위칭 방식(SMPS)
- 직류속에 잡음이 있다.
-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회로가 복잡하다.
- 대 전력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 효율이 높다.
=> 주변회로가 복장하지만, 효율이 높고, 열 발생이 적기 때문에 컴팩트한 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 단지 ON/OFF를 반복하는 관계로 이때 발생하는 스위칭 노이즈로 인해 정밀한 기기나 저잡음을 요하는 기기에서는 좀 꺼리는 편입니다.
설명
전압이 물이라고 예를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리니어 방식은 물이 필요한 양만큼 물을 주고 나머지는 그냥 버리는 방식이고,
스위칭 방식은 필요한 만큼 물을 주고 많으면 차단하는 방식 입니다. (SMPS란 ON/OFF DUTY RATIO로 전압을 조정하는 방법)
비교
장점 (SMPS가 리니어보다 좋은점)
1. 효율이 높다 (P=VI 공식에서 스위칭 소자 손실을 보면 ON시에는 V=0이고, OFF시에는 I=0이 되므로 이론상 손실이 전혀 없다)
2. 효율이 높으므로 당연히 방열판등이 없거나, 리니어에 비해 훨씬 적어지므로 컴팩트한 설계를 할 수 있다.
3. 주파수를 높임으로써 트랜스, 코일, 콘덴서 등도 용량, 크기, 무게 등을 낮출 수 있습니다.
4. Free Voltage 설계가 가능함.
단점
1. 스위칭 노이즈가 심하기 때문에 정밀, LOW NOISE 제품에는 불리
2. 소형 전원인 경우는 리니어보다 주변 회로가 복잡하고, 비싸게 먹힘
비교 내용 및 위의 내용이 아래 사이트에 요약되어있습니다.
https://www.renesas.com/in/en/products/power-management/linear-vs-switching-regulators.html
Linear vs. Switching Regulators | Renesas
www.renesas.com
'하드웨어 > 부품 및 소자 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지스터의 증폭작용 및 접지 방식 (0) | 2022.08.23 |
---|---|
TR, MOSFET의 스위칭 사용 방법 (+다이오드, R,L,C 간단 용도) (0) | 2022.08.22 |
부품의 사용 용도 및 특성 (폴리스위치, 퓨즈) (0) | 2022.08.20 |
전자회로에서의 콘덴서의 역할 (콘덴서편 부가 설명) (0) | 2022.08.19 |
부품의 사용 용도 및 특성 (콘덴서편) (0) | 2022.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