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MCU의 통신을 다루면서 케이블 작업을 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매번 헷갈리기도 하여 간략하게 정리 된 글을 공유 드립니다.

 

 


 

 

통신 별 사양

232 통신

TX    ↔    RX

RX   ↔     TX 

GND   ↔   GND 

422 통신

TXD+    ↔    RXD+

TXD-     ↔    RXD- 

RXD+    ↔    TXD+

RXD-    ↔    TXD-

GND     ↔   GND ( 안해도 됨)

 

485 통신

485의 경우 TX+ , RX+ 는 +로 같이 묶여있고, TX-, RX-는 -로 같이 묶여있다고 생각하면됨.

485 컨버터 사용할때 TX+, RX+을 묶어 결선하고, TX-, RX- 묶어 결선해서 2가닥 사용하면 됨.

 

TRXD+    ↔    TRXD+

TRXD-    ↔    TRXD-

GND       ↔    GND ( 안해도 됨)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오늘은 ST사 MCU인 STM32F103 칩에 대해 직접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래 사진 외에 첨부된 자료에 더 많이 있으니 첨부자료 다운받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네이버 및 구글링 하여 정리하였으니 참고 바랍니다. 또한 잘못된 점이 있으면 댓글 바랍니다!

 

 

STM32F103 칩특징.pptx
0.90MB

 


 

 

 

 

 

모두 화이팅~!

 

 

 

 

 

 

 

 

 

 

 

728x90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전자파 적합성  (0) 2022.08.17
하드웨어 입문 1~6 읽어보기  (0) 2021.07.02
728x90

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블로그 및 서적을 보면서 공부하시는 개발자님께 유용한 정보가 될까 싶어 제가 자주 이용하는 가이드 및 강의 사이트를 올려봅니다

 


 

 

ST 홈페이지의 국문 가이드 입니다.

교육 및 행사, 뉴스, STM32소개, STM32 개발환경, 자료실, 지원 및 커뮤니티, contact 등 다양한 메뉴로 구성되어있으며 입문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줍니다.

 

교육 및 행사

- st사에서 주최하는 교육 입니다. 과정명, 일시, 일수, 시간, 비용 등 알 수 있습니다.

- 비용이 무료라는 점과 하루에 모두 들을수 있는 점에서 맛보기? 정도 하고 오면 좋을것 같습니다.

지난 날짜인 1월 16일교육을 들어가보면 주 교육 커리큘럼과 준비사항 및 교육일정은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 STM32 MCU 및 개발 환경

- STM32 CubeMX 및 STM32G0 기능 및 특징

- GPIO, External Interrupt, Timer, UART 기본 기능 실습

준비 사항 및 교육 일정

 

2. 뉴스

새로 개발된 제품들을 열거하여 놓았다. 신제품 순으로 볼 수 있으니 개발 키트 및 유용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3. STM32 소개

말그대로 제품 소개 입니다. STM 제품도 시리즈가 나뉘어져있으며 각 시리즈에 적용된 기능 및 성능을 알 수 있습니다.직접 사진을 클릭해보면 MCU의 디테일한 사양을 알 수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영어로 나오므로 크롬을 통해서 열면 번역이 됩니다. 참고 삼아 말하지만 개발자는 영어를 읽는 것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데이터시트가 다 영문이기 때문입니다. 데이터시트를 읽다보면 다 고만고만한 영어라는걸 알 수 있으므로 어렵게 생각하지말고 차근차근 읽어보자.

4. STM32 개발 환경

STM32 Nucleo 개발보드와 X-Nucleo 확장보드 에 대한 설명이 동영상으로 나옵니다.

첫번째 부터 네번째 까지 순서대로 설명이 나와있으므로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5. 자료실

3번의 STM32 소개를 동영상으로 알려주므로 더욱 쉽게 이해하기 좋습니다.

STM 제품의 SPI, 전원 등 제품의 기능을 설명해주므로 원하는 기능의 동영상을 찾아 설명을 들어보자.

강의안에 한글 자막이 포함되어 보기 쉬울 것 입니다.

6. 지원 및 커뮤니티

각종 질문들과 기술에 대한 답변을 달아줍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이곳에 문의해보자.

7. Contact

- st사의 본사, 대리점, 교육 행사 관련 문의 전화번호를 알 수 있습니다.

​유튜브 강의 영상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UaCOzp6U-RqMo-QEJQOkVOl1Us8BNgXk

 

[HAL, CubeMX, TrueSTUDIO를 이용한 ChrisP's STM32F4 속성으로 따라하기]

HAL드라이버, CubeMX와 TrueSTUDIO를 이용한 STM32F4 따라하기 강좌입니다. STM32CubeIDE로도 본 강좌를 따라하실 수 있습니다. 강의에서 사용하는 실습보드는 https://smartstore.naver.com/mhivestore/products/49537...

www.youtube.com

- Keil u vision 또는 CubeMX, TrueSTUDIO 툴을 사용하여 펌웨어 하는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이 유튜브의 강의 목록을 보면 다양한 기술을 습득 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여 따라만 해도 많은 걸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이 링크로 인해 ST사 MCU에 대한 거부감이 조금 줄어들기 바라며,

ST MCU 파인더 어플리케이션도 참고하면 좋습니다. 원하는 MCU 제품을 찾아주는 어플리케이션이지만 막상 휴대폰에 깔고 켜진 않게 되네요.

 

 

모두 열공하시기 바랍니다! 화이팅!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오늘은 부품 발주 시 주의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부품 구매를 하다보면 같은 부품이더라도 업체별 특징이 조금씩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들어 MAX232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왼쪽 - MAXIM사, 오른쪽 - TI 사

왼쪽 - MAXIM사

오른쪽 - TI 사의 APPLICATION INFORMATION 입니다.

사진으로만 봐도 CAPACITOR 값이 다르죠? 즉 업체별 부품 특징이 다르다는 얘기 입니다.

같은 부품 명이라도 업체별 특징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결국 부품업체에 주문을 MAX232/TYPE 만 말해선 안되는 것이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각 데이터 시트에 ORDERING NUMBER가 있습니다.

 

왼쪽 - MAXIM사, 오른쪽 - TI 사

왼쪽 - MAXIM사

오른쪽 - TI 사 ORDERING INFORMATION 입니다.

원하는 부품과 TYPE를 확인하면 됩니다. 그냥 MAX232가 아닌 MAX232DW, MAX232NSR등 뒤에 알파벳들이 따라옵니다. 원하는 부품을 구매할 경우 MAX232DW 이런식으로 ORDERABLE PART NUMBER를 정확히 적어준다면 "확실하게" 원하는 부품을 구매 가능 할 것 입니다.

 

 

유익한 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일단 결론을 말하자면 특정 회사의 MCU를 파는 건 정답이 아닙니다.

(https://cafe.naver.com/carroty/316988)

 

AVR, nxp, 마이크로(pic), ST(STM), TI, 도시바 등등 MCU 회사는 엄청 다양하다. 난 이중 한 회사를 선정하여 MCU를 공부하고자 하였다.

물론 당근이에 질문을 올리고 잘못되었다는 걸 확연히 깨달았다.

매일 공부하면서 배워가는 게 엔지니어의 운명이다. 업무시간의 절반 이상을 공부하는 데 사용한다는 말도 있을 정도로 파도 파도 다 깨우치지 못하는 게 MCU이다.

최근 트렌드는 ST계열 쪽이 인기가 많다

난 기존까지 AVR를 사용해왔는데 지금은 구식이 되어 잘 사용하지도 않는다. 물론 잘 사용하지 않을 뿐이지 내가 AVR MCU를 선정하겠다 생각하면 할 수 있다. 여러 상황 (MCU 가격, 성능 등등)을 고려하여 고를 땐 지금 AVR은 한물갔고 ST 또는 TI가 인기가 많다.

그래서 난 STM을 공부하기로 했다. 어차피 AVR이나 STM이나 레지스터는 비슷하기 때문에 AVR을 먼저 마스터하면 STM을 금방 습득할 수 있다.

다시 한번

엔지니어에게 공부가 없으면 미래는 없다.

매년 새로운 MCU가 개발되면서 많이 사용되는 MCU로 갈아타기 때문에 계속 공부를 해야 한다.

대기업에서 ST 제품을 사용 -> ST사 MCU대량생산 -> 가격 다운 -> 여러 중소기업에서 적은 비용으로 MCU를 구매하여 다양한 제품 개발

보통 이런 식의 방향으로 MCU흐름이 진행되는 것 같다.

계속 공부하고 배우면서 더 고성능의 제품을 개발하자!

 

추가적으로 적자면

ST사의 MCU를 한다면 ST사의 테스트 보드 및 키트를 하나 구매한 뒤 책 보고 모두 따라 해 보면 점점 익숙해질 것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