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제품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맡고 있는 폴리스위치, 퓨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퓨즈의 용도 및 특성
퓨즈의 용도는 과전류가 흐를 경우 퓨즈 안의 연결 선을 끊어주어 더이상 흐르지 못하게 하는 용도 입니다.
퓨즈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제품에 캐패시터나 mcu등 터지거나 패턴이 소손될 것입니다.
예전에 작은 제품에서 휴즈 하나를 넣는다 만다 한 회의 내용이 생각나네요. 교류전압이 흐르는 제품에서 휴즈가 없다면 인증이 안될수도 있습니다. (제품마다 다릅니다) 꼭 확인해야 합니다. 물론 제품의 AS를 위해서라도 달면 좋겠죠?
원형의 경우 10A,20A 등 높은 전류가 흐를시 보호해주지만 작은 용량?(1~2A) 일 경우 폴리 스위치를 사용합니다. 또는 SMD퓨즈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폴리스위치는 퓨즈와 다르게 홀더가 필요없습니다.)
폴리스위치
폴리스위치의 경우 과전류가 흐르면 열에 의해서 끊어집니다.(Open 상태)
퓨즈의 방식과 다르게 폴리 스위치는 과전류가 사라지면 다시 붙습니다(Short 상태)
폴리스위치든 퓨즈든 사용하기에 용량을 잘 판단하여야 합니다.
1A가 흐르면 과전류라고 생각드는 보드에 10A의 휴즈를 달았다고 가정합시다.
만약 5A의 과전류가 흘러도 퓨즈는 끊어지지 않고 전류가 흐를겁니다. 고로 회로는 망가지겠죠? 다시 말해, 용량 계산을 잘 해야된다는 말입니다.
폴리스위치도 열로 인하여 붙고 떨어지는 부품이기때문에 많이 뜨거운지도 확인해봐야합니다.
전원 회로에 많이 사용되며, 제품 보호를 위해선 꼭 필요한 부품이라고 생각듭니다.
'하드웨어 > 부품 및 소자 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 MOSFET의 스위칭 사용 방법 (+다이오드, R,L,C 간단 용도) (0) | 2022.08.22 |
---|---|
레귤레이터 종류 ( 정전압 안정화 회로 ) (0) | 2022.08.21 |
전자회로에서의 콘덴서의 역할 (콘덴서편 부가 설명) (0) | 2022.08.19 |
부품의 사용 용도 및 특성 (콘덴서편) (0) | 2022.08.19 |
부품의 사용 용도 및 특성 (저항편) (0) | 2022.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