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오늘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트랜지스터(TR) 및 모스펫(MOSFET)에 대해 간단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스위칭 용도이므로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회로를 설명하기 앞서
R, L, C 의 용도
R : 전압분배 역할에 사용되는 소자.
C, L : 에너지를 저장하는 소자.
스위칭을 해주는 역할의 부품들
① TR
② MOSFET
TR의 경우 데이터시트의 Turn-ON Voltage 확인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Turn-on Voltage이 보통 0.7V 입니다. 0.7V가 베이스에 들어가야만 트랜지스터가 스위칭 역할로 사용이 된다는 것 입니다.
NPN Type의 TR은 N(콜렉터) P(베이스) N(에미터) 로 구성되어있고, PN(베이스-에미터) 구성이 다이오드와 동일합니다. (일반 다이오드는 0.6~0.7V, 쇼트키다이오드는 0.3V의 문턱전압이 필요합니다.)
MOSFET의 경우 Threshold Voltage 확인하여 사용하면 된다.
Threshold Voltage이 보통 1V, 2V, 2.2V가 된다. 즉, 1V~2.2V정도 전압이 가해지면 MOSFET을 스위칭 역할로 사용 가능합니다. (부품마다 다르므로 데이터시트를 확인해보길 바랍니다)
빨간색 하트가 GPIO이고, 파란색캐릭터가 릴레이라고 생각해보자.
빨간색 하트가 출력일 경우 -> 저항 2개는 분배 역할을 하고, TR BASE부분에 전압이 인가된다.
-> TR은 스위칭 역할로 ON 되고 ->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즉 릴레이가 구동된다는 것이다.
12V 아래에 다이오드는 - 역기전력 방지.
맨 처음 코일은 에너지를 저장하는 소자라고 하였다. 동작을 하였을땐 12V가 흘러 에너지가 흐르고, OFF시 코일에 저장되어있는 에너지를 방출하여야 하므로 다이오드를 통해 방출시켜주는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TR이 동작함과 동시에 확인하기 위해 넣어뒀다. 릴레이 동작도 확인 가능하다.
위의 사진에서 TR이 ON 되었을때 GPIO_OUT의 전압이 몇V가 나오는지 확인 가능하다.
왼쪽의 사진에서 GPIO_IN으로 인해 TR이 ON 되면 오른쪽 회로와 동일해 진다고 보면 된다.
R321과 R322을 전압분배 법칙을 사용한다면 쉽게 구할 수 있다.
{R322/(R321+R322)} * VCC = GPIO_OUT 전압값
전력을 사용할때는 TR이 증폭 용으로 사용된다.
그건 다음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하드웨어 > 부품 및 소자 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품 발주시 주의사항! 같은 부품이라도 주문번호가 다릅니다. (0) | 2022.08.24 |
---|---|
트랜지스터의 증폭작용 및 접지 방식 (0) | 2022.08.23 |
레귤레이터 종류 ( 정전압 안정화 회로 ) (0) | 2022.08.21 |
부품의 사용 용도 및 특성 (폴리스위치, 퓨즈) (0) | 2022.08.20 |
전자회로에서의 콘덴서의 역할 (콘덴서편 부가 설명) (0) | 2022.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