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저번 글에선 콘덴서 부가설명을 하였는데요, 이번엔 저항에 대해 조금 더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저항 풀업(Pull-Up)

 

위 그림에서 입력은 0V 일때 '1'로 인식하는 입력 핀 이다. 그러므로 이 핀에 왼쪽 그림과 같이 5V의 전원을 접속하면 줄곧 0V가 입력된 상태로 있게 된다. 우측 그림과 같이 스위치를 닫으면 전원에서 저항을 통해 들어오는 전류와 핀의 전류가 합류하여 그라운드로 흘러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입력핀의 전압은 0V로 낮아져 '1'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렇게 핀에 High 값을 입력해 두려고 붙이는 저항을 '높은 저항에 매달아 둔다'는 뜻으로 풀업(Pull-Up)저항 이라고 한다.

 

 

저항 풀다운(Pull-Down)

 

위 그림은 입력핀이 5v의 전압을 받으면 '1'로 인식한다. 좌측 그림이 입력핀은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전류가 항상 그라운드로 흐르고 있어서 입력 전압은 0V가 된다. 이때 우측 그림과 같이 VCC전원에 연결된 스위치를 단락시켜 전류가 흐르게 하면, 소량의 전류가 저항을 통해 그라운드로 흘러 내리기는 하지만 많은 양의 전류가 입력 핀으로 흘러 전압이 VCC와 같은 5V 정도가 된다. 따라서 입력핀은 '1'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저항의 사용법은 '칩의 핀을 항상 그라운드에 묶어둔다' 는 의미에서 풀다운(Pull-Down)저항 이라고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다른 예를 들어보자

 

 

 

위의 사진과 같이 포트C가 0인지 1인지 모르는 상황이다.

만약 PC0이 출력일 경우 5V가 나간다.

PC0가 0V이라면? - 현 상태에선 floating 상태이다 (floating을 번역하자면 뜬 상태인 것이다)

정확히 0v인지 확인이 불가하다. 그래서 R8인 10K을 넣어준 것이다. R8로 인해 PC0이 0V에 가깝다는걸 확인할 수 있다. 이게 풀 다운 저항과 같은 개념이다.

 

 

출처 : http://printf.egloos.com/72829

 

하드웨어 입문 : 6장 회로의 기초 (2)

6장, 회로의 기초▶ 자력 자석자석과 자기자석이 철, 니켈 등의 금속을 끌어당기는 성질을 자성이라고 한다, 이러한 일을 하는 작용을 자기라고 한다.자극과 자력자석으로 철가루가 모인 곳을

printf.egloos.com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