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회로에서의 콘덴서의 역할 (콘덴서편 부가 설명)
안녕하세요 보노노 입니다. 이전 글 콘덴서편의 추가 설명입니다.
반복되는 내용도 있으니 복습한번 해보시고, 링크의 자료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콘덴서는 직류(DC)를 막고 교류(AC)를 통과시킨다.
콘덴서에 직류를 투입하면 순간적으로 충전하고 용량이 꽉 차면 전류가 흐르지 않고 유지된다.
이러한 성질로 인해 콘덴서는 직류를 흐르지 못하게 한다.
회로에서 콘덴서가 곳곳에 있는 이유는 IC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반면, 교류를 투입하여 +/- 극을 계속 바꿔주면 충전, 방전을 계속하며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콘덴서의 특징을 이용한 것이 커플링 콘덴서이며, 콘덴서 뒤의 전류의 목적지가 되는 부품에 교류만 사용해야 할 경우 사용한다.
2. 콘덴서는 회로상에서 교류 성분을 없애준다.
콘덴서에 남은 전류를 보관하도록 하여 전류량을 낮추고, 필요한 만큼의 전류에 맞추게 된다. 그리고 교류이므로 전류량이 낮아지게 되고 이 낮아진 전류를 목적지 부품이 사용할 알맞은 전류량에 맞춘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는 동안 결국 회로상에서의 교류 성분을 직류로 바꾸게 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콘덴서를 바이패스 콘덴서 라고 한다.
출처 : http://printf.egloos.com/72829
하드웨어 입문 : 6장 회로의 기초 (2)
6장, 회로의 기초▶ 자력 자석자석과 자기자석이 철, 니켈 등의 금속을 끌어당기는 성질을 자성이라고 한다, 이러한 일을 하는 작용을 자기라고 한다.자극과 자력자석으로 철가루가 모인 곳을
printf.egloo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