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지스터의 증폭작용 및 접지 방식
안녕하세요 하드웨어 개발자 보노노 입니다.
저번 시간은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역할을 배워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엔 트랜지스터의 증폭 작용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보통 트랜지스터는 증폭 작용보단 스위칭 용도로 많이 사용되지만 증폭 작용도 중요하므로 꼭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사진이 흐린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눈으로만 보지 마시고 직접 그려서 정리해보세요!
트랜지스터의 증폭 작용

① R1 Bias 저항을 통해 항상 전압이 공급됨
② ①으로 인해 Ib 전류가 흐름
③ Ib 전류가 흐르면 Ic 전류가 흐르게 됨 => TR은 항상 동작하는 상태
* TR B의 적은 전압 변화에 따라서 Vce 전압이 크게 변화하게됨으로 '증폭' 되었다고 한다.
트랜지스터의 접지 방식
트랜지스터의 접지 방식에 따라 특징이 다르다.
(1) 에미터 접지 방식
특징
① 입력과 출력의 위상차 180도 (역위상)
② 전압 전류 증폭도가 크다.
③ 입출력 임피던스가 중간이다.
④ 임피던스 매칭이 쉬워 가장 많이 사용됨.
(2) 베이스 접지 방식
특징
① 입력과 출력의 위상차 0도 (동위상)
② 전압 증폭도가 크다.
③ 입력 임피던스는 낮고 출력 임피던스가 높다.
④ 출력 임피던스가 높고 차단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고주파 증폭단에 많이 사용한다.
⑤ 전류 증폭률 : 알파 = Ic / Ie = 99/10 = 0.99 (1보다 작다)
(3) 콜렉터 접지 방식
특징
① 입력과 출력의 위상차 0도 (동위상)
② 전류 증폭도가 크며, 전압 증폭도는 1 이하다.
③ 입력 임피던스는 높고 출력 임피던스가 낮다.
④ 출력 임피던스가 낮아 임피던스 매칭기로 많이 사용한다.
⑤ 에미터 플로워 증폭기라 하낟.
⑥ 100% 부궤환(NFB)이 걸려 안정도 및 충실도가 좋다.
[출처] 전기전자기초교채